그룹명 40

대구 퇴계서예축전 출품작

贈別應順[증별응순] 退溪 李滉[퇴계 이황]응순과 헤어지며 주다.昧道龍鍾我可吁[매도룡성아가우] : 어두운 도리에 늙고 병들어 나는 근심하는데君今年少莫功踈[군금년소막공소] : 그대 지금 나이 젊으니 공적 드물다 하지말라.來窮象數雖臻妙[내궁상수수진묘] : 미래 드러난 상과 괘수 비록 묘하게 이르지만去入宮牆恐落虛[거입궁장공락허] : 궁궐 담장에 들어 가 헛되이 떨어질까 두렵네.千聖源流閩洛學[천성원류민락학] : 많은 성인의 본 바탕은 민락(정주)를 배웠고六經堦級魯鄒書[육경계급노추서] : 여섯가지 경서의 계급은 노자 공자의 글이네.由來此事難容躐[유래차사난용렵] : 지금 힘쓴 내력으로 조용히 발탁하기 어렵지만萬里行從一步初[만리행종일보초] : 만리를 행함도 처름 한 걸음으로 말미암는다네#금문작업#퇴계서예축전#서예가이병남

대구 퇴계서예축전 출품작

퇴계시 화도음주20수 중 11수 東方有一士夙志慕斯道舂糧欲往從守隅今向老孰能諭迷塗人皆惡衰槁蹙蹙顧四方不見同所好空知五車書終勝萬金寶至哉天下樂從來不在表이 시는 퇴계 이황 선생이 젊은 시절 성리학의 도를 배우고자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늙어가는 자신의 처지를 안타까워하는 마음을 담고 있다. 주변에는 진리를 함께 추구할 동지가 보이지 않고, 사람들은 세속적인 쇠퇴만을 싫어한다. 비록 많은 책을 읽었지만, 진정한 즐거움은 겉으로 드러나는 부귀영화가 아니라 내면의 깨달음에 있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이는 학문에 대한 끊임없는 열정과 세상의 덧없음을 통찰하는 퇴계 선생의 깊은 사유를 보여주는 작품이다.【원문 및 뜻풀이】東方有一士동쪽 땅에 한 선비가 있으니夙志慕斯道어릴 적부터 도(道)를 사모해 뜻을 두었네舂糧欲往從밥 짓는..

위산일궤

爲山一篑 위산일궤 135×34 “譬如爲山, 未成一簣, 止, 吾止也; 譬如平地, 雖覆一簣, 進, 吾往也.” “비여위산, 미성일궤, 지, 오지야; 비여평지, 수복일궤, 진, 오왕야.” “산을 쌓는 일을 한번 생각해볼까요? 한 무더기만 더 쌓으면 산이 완성돼요. 그런데 그걸 못하고 그만두잖아요? 산은 완성되지 못하고 끝난 거예요. ‘다 끝낼 수 있었는데’ 같은 건 의미가 없어요. 완성하지 못한 건 결국 내 탓이죠. 하지만 반대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어요. 땅을 고르겠다고 흙이라도 한 무더기 퍼다 날랐다면 이미 시작한 거예요. 흙 한 무더기만큼 땅이 골라진 거고, 그만큼 나는 전진한 거죠.” -論語-임자헌解 #위산일궤

제34회 대한민국서예대전입상자발표(2022)

모든출품자여러분!! 수고하셨습니다. 대상 문인화 이상화 목련 01사06-01 010-****-2821 우수상 한글 김효순 가고파 01가01-07 010-****-9011 우수상 전서 최일 사사/거신 0502-07 010-****-5788 우수상 예서 김상선 송강선생 시 14본03-03 010-****-5215 우수상 해서 이은종 난경 17가04-02 010-****-6858 우수상 행초 홍영택 저주서간 17가05-15 010-****-0260 우수상 서각 최덕선 소통 0409-02 010-****-0098 한글 특선 한글 감경숙 먹을 갈며 0301-71 010-****-4965 특선 한글 김영희 봉서 12아01-01 010-****-8089 특선 한글 김주복 마태복음20장중에서 0101-02 010-**..

서각용 은행나무, 느티나무판매

서각용은행나무,느티나무 판매가 각각(규격35*50cm) 여분이 조금 남아있습니다,(2021,12월) 서각용은행나무,팽나무,느티나무,산벗나무등 4톤 정도의 량이 4월말부터~7월말까지 서각할 주인들에게 팔려갔다. 전국적으로 택배가 안간 곳이 없다. 직접 창원서각실에 찾아온 대전,정읍,구미,안동,대구,울산,김천,부산,통영,진주 등등~~에 감사드리고 좋은 작품으로 다시 탄생하길 빌어 본다. 평생 刻할 나무들 이었기에 서운함도 있었지만 비워야 채워지는 것을 깨달음으로 갈음한다. 2020년 8월1일 오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