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기계공고 졸업30주년행사 7

국립전북기공4인전

양지화신(養志和神) 뜻과 의지를 고상히 기르고 정신을 화(기쁘게)하라.-漢書 和자의 語原을 보면 (벼화,禾+피리약)자의 조합이다. 피리약자는 상형문자로써 밑부분의 책冊자는 대나무를 피리모양으로 묶어놓은 모양이며 입구,口3개는 입의모양으로 피리를 불기위함이다. 결국 벼화는 소리부분이고 피리약 부분이 글자의 뜻(의미)을 나타낸다. 피리를 불면 어떠할까? 음의 고저 장단의 조화가 아름다운 리듬이 듯이.... 훗날 이 복잡한 화자는 피리를 부는것은 입으로 불기 때문에 입구 하나로 대신하게 되었다.和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