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당(白堂)
정기헌(鄭基憲)1886~1956
창원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며 서예가이다. 1886년 현 경상남도 창원시 상남면 봉림리에서 태어났다.
선생은 민족의식이 투철하고 배일사상이 철저 하였으며
고향에서 한문을 수학한 후
서울에 상경하여 기독청년회에서 수학하였고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의 문인이 되었으며, 교남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상해임시정부의 조직원 조완구(趙琬九)선생과 교분을 가지며 독립운동 동지들 뒷바라지에 선대의 재산을 자금으로 기탁하였다.이후 일본 경찰에 구인되어 고문을 당하는 곤욕에서도 끝내 함구하였다.
1921년 11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열강들의 군축회의 일명 태평양회의에 국민공회 대표 이상재(李商在)와 양기탁(梁起鐸)을 필두로 국내 종교계 및 사회단체 대표와 전국 13도 260군 대표 총372명이 서명하였으며 韓國人民致太平洋會議書에 경상남도 창원군 대표로 서명하였다.
1930년대 후반 창원군수는 정기헌을 불러 상남면장을 권하였으나 그는 거절하였다.
해방 후 말년에 창원군 상남면 봉림리 62번지[現 昌原市 義昌區 鳳谷洞]에 거주하면서 청년들에게 한글과 한문을 지도하며 서예활동에 매진하던 중 시력 약화로 사회활동을 접고 그 후 失明과 노환으로 투병 중 향년 71세로 1956년에 사망하였다.
전해오는
齋室·書堂·碑文글씨는
*창원의 집 省退軒편액·주련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림동
*達川亭편액[1938년, 창원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
*參議昌寧曺公配淑夫人靈山辛氏墓碑)[1951,창원시 의창구 북면 지개리]
*永慕齋편액·주련[1952, 창원시 의창구 북면 외산리]
*小山書堂 편액[창원시 성산구 사파동]
*聖住寺 中興祖藤巖大宗師功德碑)[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쌍효각(思窩處士慶州崔公表孝碑·雙孝閣)[1944, 경남 고성군 거류면 당동리]
*연파정(蓮坡亭) 편액·주련[1949, 고성군 구만면 저연리]· *桂山亭·雙孝閭의 상량문·편액[1951, 고성군 구만면 광덕리]
*松陽齋편액·주련[고성군 거류면 송정리]
*遲遲園碑[1945, 함안군 여항면 외암리]
*跬模堂·栗澗亭·紫薇亭편액[함안군 산인면 모곡리]
*振武功臣仁原君李休復神道碑)[1946,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
*景德書堂 편액·주련 [창녕군 길곡면 증산리]
*玉山齋편액[창녕군 길곡면 길곡리]
*無逸處士夏山成公墓碑[창녕군 유어면 진창리]·
*芝山齋편[의령군 지정면 득소리]
*大學堂편액·주련[밀양시 하남읍 대사리]
*處士淸州宋公墓碑[김해시 진례면 송정리]·
*碧松亭 孤雲 崔致遠詩편액[경북 고령군 쌍림면 신촌리]
屛風글씨로 晦齋선생의 元朝五箴을 쓴 병풍10폭, 창원시 성산구 반림동에 있고 문집으로는「白堂詩集」(3책)이 있다.






